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0

약정휴가] 하계휴가(여름휴가)는 연차 대체가 가능한가? 안녕하세요... 성아의 HR학교 입니다.​ 이번 주 비가 오면서 낮 더위도 사라지는 듯 싶지만, 지난 여름은 폭염 때문에 이제껏 지내왔던 그 어느 여름보다 힘들었다...는 생각에​​ 이번 내용은 약정휴가 중 대표적인 하계휴가(여름휴가) 에 대해 정리해 볼까 합니다. -. 어떤 회사는 여름휴가 등 다른 용어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하계휴가]로 표현하겠습니다. 먼저, 약정휴가가 무엇일까요? 우리가 얘기하는 연차휴가, 출산전후휴가 등은 [근로기준법 등에서 정한 휴가 = 법정휴가] 입니다. 반면, 많은 회사가 규정하고 있는 [경조휴가, 하계휴가]는 약정휴가의 대표적 사례이며, 회사와 노동조합/근로자 間에 정하기 때문에 그 항목이나 내용이 각 회사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이제, 하계휴가에 대해 알아봅시다. .. 2023. 9. 15.
휴업수당] 휴업이란? 휴업수당은 얼마? 안녕하세요... 성아의 HR학교 입니다.​ ​ ​오늘은 휴업수당 에 대해 정리해 볼까 합니다. 휴업/휴업수당은 근로자의 개인적 사유 관점이 아닌 "회사가 일시적으로 가동을 멈추는..."의 관점 입니다. 사용자/회사도 가동하고 싶고 근로자도 근무할 의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휴업을 실시할 수 밖에 없는 상황도 있을 것이고, or 사용자/회사가 "가동하는 것보다는 비가동하는 것이 낫다..." 라고 판단하여 비가동을 택할 수도 있죠... 뭐 여튼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근로자가 근무할 의사가 없어 쉬는 것은 지금 얘기하는 휴업/휴업수당에 해당되지 않죠...) 이런 상황이 오면, 사용자는 가동 못해서 손해보는 것도 있는데 근로자의 임금까지 그대로 다 지급해야 하나? 생각할 수 있죠... 왜냐.. 2023. 9. 14.
공휴일이 토/일/他공휴일과 겹치면, 급여(일당)는? [ft. (대체)공휴일 정리] 안녕하세요... 성아의 HR학교 입니다.​ ​ ​오늘은 공휴일(유급휴일)이 토/일과 겹치는 경우, 급여는 어떻게 되는지?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공휴일 및 대체공휴일에 대해 간략히 표로 정리해 봅니다. 간단히 요약하면, 1. 공휴일이 주말(토/일) or 다른 공휴일과 겹치는 경우, 대부분 대체공휴일이 적용됩니다. 2. (제외) [신정/현충일]은 겹치더라도 대체공휴일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3. (토 예외) 휴일이 3일인 [설/추석]은 토요일과 겹치더라도 대체공휴일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제 공휴일이 중복되는 경우, 급여는 어떻게 될까? 1. 공휴일(유급)이 토요일(무급/휴무일)과 겹치면... (이전 글에서 소개된 적이 있지만) 공휴일이 근로기준법에 확대 적용할 때, ① (휴일보장 O) 근로자의 휴.. 2023. 9. 13.
연차휴가] 오전반차後 연장근로 하면...?? 안녕하세요... 성아의 HR학교 입니다.​ ​ ​오늘은 연차휴가 중에서 반차(반일) 사용하는 날에 연장근로를 하면...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5일 단위의 연차휴가는 위법인가? 우선, 연차휴가는 1일(개) 단위로 사용함이 원칙이죠... 그래서 통상근로자의 연차 1일은 8시간... (소정근로시간 = 주휴시간 = 연차 1일) 그러나, 사업장에 따라서는 『반일휴가/반일연차/반차/반휴』 등으로 불리우는 0.5일(4시간) 단위로 휴가를 허용하기도 합니다... 물론, 이렇게 하더라도 위법으로 보지는 않죠... 실무를 하다보면, 근태를 처리하기 곤란한 경우가 가끔 생깁니다. 회사가 가진 기준이나 관행이 있는 경우에는 그에 따르면 되지만, 그 外의 새로운 상황이 발생하면 사실 쪼금 막막하고 헷갈리죠. 반차를 인정.. 2023. 9. 12.
단시간근로자의 주휴시간 계산 (ft. 연차휴가시간/개 계산) 안녕하세요... 성아의 HR학교 입니다.​ ​ ​오늘은 단시간근로자의 주휴시간 계산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주휴수당의 발생 요건을 정리해 보면... 1. 주중 소정근로일에 개근할 것 (결근이 없을 것, ≠ 만근) 2. 4주평균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일 것 (실근로시간이 아닌 근로계약서 기준) 3. 주휴일 현재 근로계약이 유지될 것 ... 이죠. (다음주 계속근로, 평상적근로관계 유지 조건은 행정해석의 변경으로 폐지) 外 소수 의견으로 [4. 주간 1일이상 출근할 것...] 의 조건도 있으나, 저는 동의하지 않는 조건입니다. 이 조건의 의미는 "주중 출근일이 하루도 없으면 결근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개근도 아니다..."라는 입장인데... 실무적으로 연차휴가를 5일 또는 경조휴가(본인 결혼)를.. 2023. 9. 11.
주휴수당의 발생 요건 [ft. 퇴직일자(요일)에 따른 주휴수당 O/X] 안녕하세요... 성아의 HR학교 입니다.​ ​ 오늘은 주휴수당과 퇴직일자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 주휴수당의 개념 및 발생 요건 ] 에 대해 정리해 보죠... 주휴수당은 회사에서 정한 주휴일이 『유급』 인 경우를 의미합니다. 즉, 직전 1주간 개근하면 해당 주휴일에 주휴수당이 발생한다는 것이죠... 근기] 제55조(휴일) ①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1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보장하여야 한다. 근기 시행령] 제30조(휴일) ① 법 제55조제1항에 따른 유급휴일은 1주 동안의 소정근로일을 개근한 자에게 주어야 한다. ※ 개근이라 함은 『결근이 없는 것』을 의미하며, "지각/조퇴/외출" 은 개근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근로시간 모두를 근무하는 "만근" 과는 다른 의미지만, 같은 의미.. 2023. 9.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