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차휴가5

연차휴가] 사용하지 않고 정산하는 것이 유리할까? (ft. 변수는?) 안녕하세요... 재야의 고수 박준대의 [성아의 HR학교] 입니다.​ 연차휴가는 근로자가 필요할 때 청구하면 회사가 승인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를 『연차휴가청구권』이라고 하죠. 법률적으로는 회사에 중요한 일(사업에 막대한 지장이 있는 경우)이 있을 때는, (아예 휴가를 주지 않은 것은 안 되나) 근로자가 요청한 시기가 아닌 다른 시기로 그 시기를 조정할 수 있죠. 이를 『연차휴가시기조정권』이라고도 하나, 현실적으로는 흔히 볼 수 있는 case는 아닌 것 같습니다. 근로기준법] 제60조(연차 유급휴가) ⑤ 사용자는 제1항부터 제4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휴가를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주어야 하고, 그 기간에 대하여는 취업규칙 등에서 정하는 통상임금 또는 평균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 2023. 10. 16.
연차휴가 발생] 관리 방법에 따른 비교 (입사일자 vs 회계일자, 예시로 보는 차이) 안녕하세요... 재야의 고수 박준대의 [성아의 HR학교] 입니다.​ ​ 연차휴가를 얘기할 때 근속이 『1년 미만인지? 1년 이상인지?』 에 대해 얘기를 하죠. 즉, "1년 미만 연차는 개근하는 달마다 1개씩 발생하여 최대 11개까지 발생하고, 1년 이상 연차는 매년 15개씩 발생하며 근속이 늘어남에 따라 가산연차가 추가되어 최대 25개까지 발생한다." 여기까지는 많이들 알고 계신 것 같은데... Q&A 경험을 보면, 입사 초기인 《1~2년차에는 회사가 어떤 기준으로 관리하느냐?에 따라 그 발생 수가 다를 수 있다》는 부분 및 《퇴직前 잔여연차를 모두 소진하고 싶은데 몇 개를 사용하면 되는지? 또는 몇 개를 정산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모르시는 분이 많은 것 같아, 관리기준에 따른 연차휴가의 발생이 .. 2023. 10. 10.
연차휴가]연차대체 / 연차이월 + 시간외근로수당]보상휴가 안녕하세요... 재야의 고수 박준대의 [성아의 HR학교] 입니다.​ ​ 법정휴가의 대표자인 연차휴가는 늘 근로자들의 관심 대상이죠... 그러나, 직장 초년생에게 있어 연차휴가는 아주 혼란스러운 것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1년미만/1년이상]이 다르고, [입사일자/회계일자]에 따라 또 다르고, 잔여연차를 마저 사용하고 퇴직하고 싶은데 몇 개를 사용할 수 있는지? 또는 몇 개를 정산받을 수 있는지? 등 내가 생각하고 있는 것이 맞나? 싶어 여기저기 확인해 보지만 "정답이 아니다..."라고 얘기하고... (ㅠㅠ) 그렇지만 한 가지에만 집중하지 말고 관련된 것들의 연관성을 확인하면서 시간을 보내다 보면, 저절로 이 규칙이 눈에 들어오는 순간이 있을 것이므로 포기하지 마시라... 얘기드리고 싶네요. 발생에 대한 .. 2023. 10. 8.
연차휴가] 1년이상 - 출근율 계산 (ft. 2023 예시) 안녕하세요. 성아의 HR학교 입니다. 오늘은 1년이상 연차휴가를 부여할 때, 부여 여부의 기준이 되는 연차휴가 출근율 계산 에 대해 정리해 봅니다. 그 전에 여러분 회사는 출근율을 계산하여 연차를 부여하나요? 따로 계산하지 않고 1년/365일 中 개인사유로 인하여 미출근일수를 제외한 비율로 계산하지는 않나요? 이렇게 계산한 결과가 80% 이상이 되면, 1년이상 근속자에 대해서는 [15개+근속연차] 의 연차를 부여하는.... 이렇게 계산할 경우, 연차 출근율이 80% 미만으로 나올 수 있는 미출근일수는 며칠이나 될까? 결근 등의 일수가 74일 이상이 되면, 80%에 미달(79.7%)가 나오네요... ▶ 현실적으로 결근 등 미출근일수가 74일 이 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라고 볼 수 있기에, ▶ 이.. 2023. 9. 3.
연차휴가가 처음 발생하는 날은 언제? (ft. 입사일자 vs 회계일자) 안녕하세요... 성아의 HR학교 입니다.​ ​ 이번 주제는 연차휴가의 발생입니다. 특히 입사 첫해~두번째 해의 경우, 1년미만 연차와 1년이상 연차가 동시에 발생하므로 연차휴가 발생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은 다소 혼란을 야기하며, 질문을 많이 받는 항목 중 하나이죠. 1. 발생대상 : 5인 이상 사업장의 주간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어야 합니다. 2. 발생시기 : 각 조건을 충족한 다음 날(익일)에 발생하는 후발생 개념입니다. cf. 발생前 사용, 이른 바 (-)연차 사용을 인정하는 사업장도 있답니다. 3. 관리방법 : [(법)입사일자 기준 vs (행정해석)회계일자 기준] 중 택일하여 관리하죠. 단, 회계일자 기준 사업장은 입사일자 기준과 비교하여 근로자에게 불이익이 없어야 합니.. 2023. 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