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인사실무20 수능일 출근시간 : 민간기업도 출근시간을 늦춰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성아의 HR학교] 입니다.2024.11.14(목) 어제가 2025학년도 수능일...수능이 끝나서 한시름 놓는 것도 있겠지만,이제 다시 시작일 수도 있겠다... 라는 생각을 하면 여전히 진행형 같네요...수험생 및 그 가족분들 모두 고생하셨어요... 인사부터 드립니다. 혹시나수험생이 교통 혼잡에 갇혀 제때 시험장에 도착하지 못하는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교육부에서는 관공서/공공기관은 물론 민간기업에도 [수능일 출근시간 조정-지연출근]를 요청하죠... "수능일에는 10시 이후로 출근시간을 조정해 주세요..."이에 관공서/공공기관 및 민간기업에서도 출근시간을 조정하죠...그러면 그 조정시간에 맞춰 늦게 출근할 수 있습니다.그러나~~모든 민간기업이 출근시간을 조정해야 하는지? 에 대해.. 2024. 11. 15. 12월, 바쁜 하루하루를 보내며... 안녕하세요... 재야의 고수 박준대의 [성아의 HR학교] 입니다. 오늘은 특별히 어떤 주제가 아닌 인사업무와 관련된 일상에 대해 free하게 얘기해 보겠습니다. 여러분은 연말 어떻게 보내시나요? 저는 이직한지 얼마되지 않은 상황에서 연말연시를 준비하느라 바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답니다. 하루하루는 바쁜데 딱히 뭔가를 결정 짓지는 못하고 계속 연결되는 상황에 처해 있기에 퇴근할 때 생각해 보면 '오늘도 뭐하느라 이렇게 정신없이 바빴지?' 라는 생각을 하는 날이 계속되고 있네요... ㅠㅠ 요새 나를 바쁘게 하는 것들은 뭐가 있나? 우선, 승진급 등 인사제도는 법에서 정한 사항이 아닌 각 회사에서 정한 사규/내규/기준이므로 각 회사마다 표현과 내용, 절차, 활용목적 등을 달리하므로 아래의 표현이나 내용과 다.. 2023. 12. 9. 감시단속직] 감시직근로자의 근로시간, 임금, 휴일, 연차휴가는? [ft. 근로자의날은?] 안녕하세요... 재야의 고수 박준대의 [성아의 HR학교] 입니다. 개인적으로 이직하는 과정에서 정신없는 나날을 보내다 보니 소홀하게 되었네요. 그렇다고 이제는 안정되어 글 쓰는 시간을 가졌나? 라고 물으신다면 이 또한 아직은 "아니다"라고 답을 드릴 수 밖에 없을 것 같군요. 대단한 핑계지요....ㅎㅎㅎ 좌우간 좀더 글을 올릴 수 있도록 해 보겠습니다. 감시직과 단속직을 합하여 【감시단속직(감단직)】 中 오늘은 이른 바 [경비아저씨]로 대표되는 감시직 근로자의 근로기준법 적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감시직의 기본 개념] 감시직 근로자는 말 그대로 『주어진 관리 범위內 상황이 정상적인지? 비정상적인지? 가만히 지켜보는 근로자』 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피로가 적은 업무이.. 2023. 11. 18. 연차휴가] 사용하지 않고 정산하는 것이 유리할까? (ft. 변수는?) 안녕하세요... 재야의 고수 박준대의 [성아의 HR학교] 입니다. 연차휴가는 근로자가 필요할 때 청구하면 회사가 승인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를 『연차휴가청구권』이라고 하죠. 법률적으로는 회사에 중요한 일(사업에 막대한 지장이 있는 경우)이 있을 때는, (아예 휴가를 주지 않은 것은 안 되나) 근로자가 요청한 시기가 아닌 다른 시기로 그 시기를 조정할 수 있죠. 이를 『연차휴가시기조정권』이라고도 하나, 현실적으로는 흔히 볼 수 있는 case는 아닌 것 같습니다. 근로기준법] 제60조(연차 유급휴가) ⑤ 사용자는 제1항부터 제4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휴가를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주어야 하고, 그 기간에 대하여는 취업규칙 등에서 정하는 통상임금 또는 평균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 2023. 10. 16. 퇴직금] 발생조건, 계산방법, 지급기한 및 지급절차 안녕하세요... 재야의 고수 박준대의 [성아의 HR학교] 입니다. 어제 실업급여 중 구직급여에 이어 오늘도 퇴직에 관한 얘기를 계속 해 볼까 합니다. 이전 회사에서 퇴직금을 100% 지급했던 시기에는 퇴직금을 받지 못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여 소액체당금제도,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퇴직급여법) 등이 지속적으로 보완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퇴직금을 제때/제대로 받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하는 것을 보곤 하죠. (ㅠㅠ) 오늘은 퇴직금의 발생 조건, 계산 방법, 지급 기한 및 어떻게 찾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만 퇴직금에 대해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전에 얘기하고자 하는 내용은, (퇴직금 중간정산 제외) 퇴직금은 『퇴직, 즉 근로계약의 해지』라는 절차가 완료되어야 발생하는 것으로 근로의 대가인 임금이.. 2023. 10. 14. 실업급여(구직급여)의 자격요건, 급여기간 및 급여금액은? 안녕하세요... 재야의 고수 박준대의 [성아의 HR학교] 입니다. 퇴직할 때 여러가지 세부적인 사유가 있지만, 크게 [자발 퇴직]/【비자발 퇴직】 및 『자동 퇴직』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① 자발 퇴직은 근로자가 타사이직, 집안사정 등의 개인적 사유로 회사를 퇴직하는 것이죠. 이 경우에는 대부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으나, 일부 사유에 대해서는 실업급여의 조건이 되기도 하는데 그 내용은 아래에서 다시 정리하겠습니다. ② 비자발 퇴직은 개인의 사유가 아닌 회사의 사유에 의한 퇴직이며, 대부분 실업급여의 조건이 되며 이때 구직자는 실업급여를 받으면서 구직활동을 하죠. ③ 자동 퇴직이라는 것도 있습니다. 이는 근로자의 사유도 아니고 회사의 사유도 아닌 법이나 취업규칙에서 정한 요건을 충족하면 자동으로 퇴.. 2023. 10. 13.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