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인사실무/출산.육아.모성보호

배우자출산휴가(급여) [ft. 중소기업)사규로 『유급휴가 10일』을 정하고 있다면...?]

by 성아의 HR학교 2023. 9. 27.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재야의 고수 박준대의 [성아의 HR학교] 입니다.​

여성근로자의 출산전후휴가는 근로기준법에서 규정하고 있지만, 

배우자출산휴가는 [남여고용평등법]에서 규정하고 있습니다.

남녀고용평등법] 제18조의2(배우자 출산휴가) 
① 사업주는 근로자가 배우자의 출산을 이유로 휴가(이하 “배우자 출산휴가”라 한다)를 청구하는 경우에 10일의 휴가를 주어야 한다. 이 경우 사용한 휴가기간은 유급으로 한다.
② 제1항 후단에도 불구하고 출산전후휴가급여등이 지급된 경우에는 그 금액의 한도에서 지급의 책임을 면한다.
③ 배우자 출산휴가는 근로자의 배우자가 출산한 날부터 90일이 지나면 청구할 수 없다.
④ 배우자 출산휴가는 1회에 한정하여 나누어 사용할 수 있다.
⑤ 사업주는 배우자 출산휴가를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리한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배우자출산휴가 (by 성아의 HR학교)

 

먼저, 배우자출산휴가는 [유급휴가 10일] 입니다.

① 배우자, 즉 남편의 범위는?

법률혼(혼인신고) 뿐만 아니라, 사실혼(미신고)의 남편도 포함합니다.

(여성고용정책과-3563,  2018.08.22) 
배우자의 범위는 법률혼 뿐만 아니라 사실혼의 배우자도 포함되므로 사실혼의 배우자 출산에 따라 남성 근로자가 배우자 출산휴가를 청구하는 경우 사업주는 해당 남성 근로자에게 배우자 출산휴가를 부여해야 합니다.

 

② 유급휴가 10일?  1회분할?

-. 유급휴가는

   소정근로일에 근로의 의무를 면제하는 것으로, 이때 쉬더라도 급여를 삭감하지 않는 것이죠...

   다만 정부(고용센터)에서 별도 지급하는 경우, 이 부분 만큼은 회사의 지급 의무가 면제되는 것이구요...

   즉, 고용센터에 신청하여 지급받을 수 있는 금액만큼만 공제가 가능하다는 의미...

-. 월력이 아닌 소정근로일 기준으로 10일... 을 의미합니다.

-. 출산 준비 등을 위한 출산(예정)일 前 사용도 가능합니다.

-. 1회 분할은 필요에 따라 [휴가 ~ 근무 ~ 휴가] 할 수 있다는 의미죠...

-. 사용기한은 출산일로부터 90일 이내이어야 합니다.  이를 초과하면 휴가를 사용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다음, [배우자출산휴가급여] 입니다.

① 유급휴가의 기준임금은 [통상임금] 입니다.

평소 통상임금인 고정수당이 있다면,  

하루 8시간의 기본급 뿐만 아니라

이 수당도 209시간으로 쪼개

그 하루의 일당에 포함한다는 의미죠...

 

② 고용센터) 배우자출산휴가급여는 

-. 우선지원대상기업(중소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 첫 5일에 대해 (cf. 대기업은 10일 모두 회사 부담)

-. 2023년) 5일분 상한액 [401,910원 (80,382원/일)] 범위 內에서 신청을 받아 지급 합니다.

※ 정부지급 상한액은 매년 변동될 수 있으므로, 사용前 고시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회사는 정부지급액 만큼만 공제할 수 있으며, 나머지 임금은 부담(공제하지 않음)해야 합니다.

 

③ 약정휴가로 정한 경우...

만약 사규 - 경조휴가/경조금 기준- 에 『배우자출산휴가 : 유급휴가 10일』 을 규정하고 있다면,

중소기업(우선지원대상기업)이더라도 사규에 따라 100% 회사가 부담해야 합니다.

① 담당자는 유급휴가일수만 확인하면 되고,  급여는 별도의 공제가 없죠...

근로자 역시 고용센터에 별도 신청할 것이 없어지게 되죠...

     고용센터 역시 회사에서 부담한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지원하지 않으니까...

 

<참고 : 2023년 고시 내용>

고용노동부는 고용보험법에 따라

우선지원대상기업의 근로자에 한해

2023년 1월 1일부터 배우자출산휴가급여의 상한액을

401,910원(최초 5일분)으로 정함...을 고시하고 있습니다.

출처 : 고용노동부
출처 : 고용노동부

 

ㅇㅇ